호국전몰용사 공훈록

박덕윤(朴德允)

  • 군별 : 육군
  • 계급 : 일병
  • 군번 : K1110090
  • 전몰일자 : 19510501

공훈사항

박덕윤 일병은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現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서 출생했다(출생 일자 미상). 그는 6·25전쟁 발발 후 북한군이 낙동강 선까지 남진하여 대한민국이 위기에 처하자, 1950년 8월 하순경 구포에 위치한 제3훈련소에 입대하여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카투사(KATUSA, 주한 미군에 파견된 한국군)병으로 차출되었다. 박덕윤 일병은 美 제7사단 제32연대에 배치되어 적정탐색, 포로심문 등의 임무를 수행하다가, 대구에 있는 육군 제1훈련소로 전속되어 조교요원으로 재배치되었다.
박덕윤 일병이 훈련소에 배치될 무렵 전황은 북진했던 국군과 유엔군이 중공군의 참전으로 38도선으로 철수하여 방어 편성을 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제1훈련소는 신병교육에 주력하면서 인근에 출몰한 적들의 유격활동에 대응하고 있었다.
한편, 개전 이래 수많은 전사자가 발생함에 따라 병력 보충 문제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육군본부는 1950년 7월 초순 각 도별로 편성관구사령부를 설치하고 신병 확보와 더불어 후방지역작전 임무를 수행하도록 했다. 그리고 신병교육을 위해 8월 14일 대구에서 육군본부 직할로 제1훈련소가, 부산에는 제2훈련소가 창설되었고, 8월 22일에 경남 구포에 제3훈련소가, 제주도 모슬포에 제5훈련소가 창설되면서 신병을 양성하여 부족한 병력을 보충했다.
그런데 제1훈련소는 1951년 1월 22일에 제주도 모슬포로 이전하여 원래 이곳에 있던 제5훈련소와 통합하면서 3월 14일부로 명칭이 제1훈련소로 통일되었다. 제주도는 제주 4·3사건(1948년 4월 3일 발생) 때 군・경의 토벌작전에서 살아남거나 한라산으로 도피한 적 게릴라 잔당들이 수시로 출몰하여 지서나 관공서 등을 습격, 파괴했다. 이들의 유격활동은 중공군의 참전으로 전선이 38도, 37도선까지 남하하자 더욱 극심해졌다. 그리고 때로는 우익 인사에 대해 테러를 하거나 민간인을 납치하기도 했다.
당시 상황이 긴급했고 병력도 부족했기 때문에, 게릴라들이 출몰할 때마다 제주도 주둔 해병대사령부나 제1훈련소 병력이 출동해서 이들을 소탕해 왔다. 제1훈련소는 신병훈련에 주력하면서 조교를 포함한 기간요원으로 기동타격대를 편성하여 게릴라 소탕 작전을 수행했고, 박덕윤 일병은 신병교육에 여념이 없는 가운데서도 기동타격대로서 소탕 작전에 앞장서 왔다. 1951년 5월 1일 한라산에 적이 출몰하여 기동타격대 추격조인 박덕윤 일병은 게릴라를 추격하던 중 적 총탄에 맞아 장렬히 전사했다.
정부는 호국의 별이 된 故 박덕윤 일병의 공적과 숭고한 희생을 기리기 위하여 그의 위패(40판-7면-210호)를 국립서울현충원에 설치했다. 전쟁기념관은 전사자 명비(085-ㄹ-101)에 그 이름을 새겨, 그의 나라사랑 정신을 후세에 전하고 있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장